[데일리NK]배급 끊긴 ‘北군수공장’서 아사자 첫 확인 인쇄하기
이름 NKnet
2008-05-14 17:05:48  |  조회 5516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배급 끊긴 ‘北군수공장’서 아사자 첫 확인

[北내부소식통]배급만 의존하는 군수공장 근로자 취약계층 떠올라
[2008-05-12 15:48 ]

지난해 8월 북한지역에 내린 집중호우로 인한 수확물 감소와 북한 당국의 장마당 통제로 식량난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배급에만 의존하는 군수공장에서 아사자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 내부 소식통은 11일 ‘데일리엔케이’와의 전화 통화에서 “군수공장에서 4월부터 한 주에 평균 2~3명꼴로 아사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주민들 사이에서도 ‘OO아바지, OO오마니가 죽었대’라는 말들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아사자가 생겨난 곳은 평양시 강동군에 있는 군수공장”이라며 “최근 1주일에서 열흘씩 굶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죽어가는 사람이 늘고 있는데, 대부분 이들이 모시고 있는 55세 이상의 부모들이 먼저 죽어 나간다”고 말했다.

군수공장의 경우 ‘선군정치’를 강조하는 북한체제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일반 공장에 비해 배급상황이 나았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식량난이 가중되면서 상황은 정 반대로 전개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식통은 “지방의 경우에는 공장에 나가지 않고 능력껏 장사를 해서 먹고 살 수 있지만, 평양시 강동군의 군수공장은 그렇지 않다”며 “군수공장 노동자들은 규율이 세서 공장에 출근을 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러다 보니 배급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고, 배급이 끊어지면 살아갈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이어 “강동군에 군수공장이 여러 개 있는데 대략 1만 명 정도의 노동자가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배가 고파서 공장에 출근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는데, 집에 가보면 하루 종일 멍하니 집에 앉아 있거나 설사 공장에 나온다 해도 일을 못할 정도로 굶주려 있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인민반의 경우도 작년까지는 풀죽을 먹는 사람이 거의 없었는데 지금은 풀죽으로 하루 세끼를 채우는 가정들이 늘어가고 있다”며 “대략 70% 정도가 풀죽으로 하루 세끼를 다 채우거나 최소 한 끼니 정도는 (풀죽으로) 채우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그래도 눈치가 있는 사람은 해풀(봄에 나는 나물)이라도 나오면 뜯어서 장마당에 내다 팔아 강냉이 국수 한 덩어리를 살 수 있는데, 이걸 다시 풀과 섞어 죽을 쑤면 4~5식구가 한 끼를 먹을 수 있는 정도는 된다”고 말했다.

양강도 내부 소식통 역시 11일 전화 통화에서 “여기(국경연선)는 아직까지는 괜찮은데, 앞지대(내륙지대)에서는 굶어죽는 사람들이 많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며 “여기도 한 끼씩 굶는 집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 언제 사람들이 죽어 나갈지 모르겠다”고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와 관련, 북한민주화네트워크의 김윤태 사무총장은 “일단 아사자가 발생한 곳이 ‘군수공장’이라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시장 접근도가 높은 주민들은 그래도 다양한 생존방식을 터득하고 있지만, 군수공장 노동자들은 그런 측면에서 볼 때 식량위기에 매우 취약한 계층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최근의 상황이 우려스러운 것은 작년 집중호우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작년말부터 북한 당국이 시장을 강력하게 통제하는 정책을 펴고 있기 때문”이라며 “시장만 자유롭게 풀어놓아도 일반 주민들의 식량사정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단둥(丹東) = 정권호 특파원/최철희 기자]


   
178 [뉴시스]북한 식량난의 진실과 해법은 무엇?  NKnet 08-07-04 5390
177 [데일리NK]시장경제 맹아 ‘7·1조치’…北 생존방식 바꿔  NKnet 08-07-02 5507
176 [데일리NK]“北, 5월 식량가 하락,오버슈팅’ 가능성”  NKnet 08-06-02 6157
175 [kbs 라디오]"북한인권 논의, 어디까지 왔나"  NKnet 08-05-29 5983
174 [데일리안]인권위, 북한인권 외면에서 구색 맞추기로 선회?  NKnet 08-05-20 6169
173 [헤럴드경제]‘북한 인권포럼’ 시작부터 ‘삐걱’  NKnet 08-05-20 6242
172 [데일리NK]“인권위 ‘北인권포럼’은 구색 맞추기…재구성해야”  NKnet 08-05-20 5499
171 [데일리NK]배급 끊긴 ‘北군수공장’서 아사자 첫 확인  NKnet 08-05-14 5516
170 [뉴시스]'납북피해자 보상심의위' 인선 완료  NKnet 08-04-21 6235
169 [데일리NK]孫 “내가 대통령이면 ‘北인권관련 결의안’ 찬성 안해”  NKnet 08-04-03 6617
168 [데일리NK]통일부 ‘납북자문제 적극·인권은 소극’  NKnet 08-03-27 6793
167 [데일리NK]“韓·日대학생 “北인권 개선 함께 노력하자”  NKnet 08-03-18 6883
166 [데일리안]대학생들이 북한인권법 국회통과시켰다  NKnet 08-03-07 6586
165 [데일리NK]국회서 잠자던 ‘北인권법’ 대학생 힘으로 되살려  NKnet 08-03-07 6388
164 [데일리NK]北, 10년만에 軍→黨으로 통치 옮기나?  NKnet 08-03-03 6394
163 [독립신문]"황장엽 테러위협사건, 공안당국 철저한 수사 촉구"  NKnet 08-02-27 7052
162 [VOA]한국 국가인권위, 북한 인권 문제 중심과제 설정  NKnet 08-02-20 6446
161 [뷰스앤뉴스]강철서신 김영환 "자주파 90%는 주사파. 총선서 궤멸할듯"  NKnet 08-02-19 6706
160 [데일리NK]김영환 “민노 자주파에게 北은 ‘혁명의 고향’”  NKnet 08-02-19 6257
159 [조선일보]"북한, 22명 송환요청 있었다"  NKnet 08-02-19 6471
31323334353637383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