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 “정부, 금강산 피살사건 원칙 대응하라”
[기자회견]“北당국에 의한 ‘전략적 학살행위’ ”
[2008-07-15 15:35 ]
금강산 관광객 피살사건과 관련해 북한 당국이 진상규명을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시민사회단체들은 15일 정부의 원칙적인 대응을 촉구하고 나섰다.
바른사회시민회의,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납북자가족모임, 북한민주화위원회 등 35개 시민사회단체는 이날 정부종합청사 별관 앞에서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11일 발생한 금강산 피살사건에 대해 정부가 북한 당국에 단호하면서도 분명한 대응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규탄연설에 나선 피랍탈북인권연대 도희윤 대표는 “지난 북한의 냉각탑 폭파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번 사건은 북한 당국에 의한 전략적 학살행위다”며 “북한은 촛불정국의 틈을 타 우리 정부를 흔들고, 대한민국을 무너트리려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바른사회시민회의 최강식 사무총장은 “엠네스티인터네셔널 직원이 한국 촛불시위 인권침해 조사를 위해 들어 온 적이 있었는데, 엠네스티는 이번 금강산에서 있었던 사건에 대해 범죄행위가 아닌지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납북자가족모임 최성용 대표는 “현장조사를 거부하고, 항의 한번 제대로 못하고 있는 지금의 실정은 지난 10년간 정부가 잘못해 발생된 일이다”며 “세계가 나서 북한에 항의해야 하고 미국도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해제 조치를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 단체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에서는 “비무장 상태였던 관광객을 향해 총질을 서슴없이 가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있을 수 있는 일이 아니다”며 “이번 금강산 피격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혹투성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북한 땅에서 석연찮게 총 맞아 죽었는데 진상조사에 응할 수 없다는 게 말이 되는가”라고 힐문하며 “남북이 체결한 금강산 관광의 출입 및 체류에 관한 합의서를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납득이 가지 않는 처사다”고 북한 당국을 비난했다.
또 “우리 정부는 이번 사건에 대해 단호하면서도 분명한 대응에 나서길 바란다”며 “우선적으로 ‘진상조사단’을 꾸려 한 점 의혹 없는 규명에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북한의 반응이 어떠하든 우리 정부는 일관된 자세로 강력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끝으로 “우리 정부는 있는 그대로의 진실규명과 책임자 처벌, 공식 사과 등과 더불어 다시는 이런 비극이 발생하지 않게 재발방지 약속을 반드시 받아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고려대 북한인권동아리 Ein Volk, 경희대 북한인권동아리 SWINK, 납북자가족협의회, 남북자가족모임, 뉴라이트재단, 명지대 북한인권동아리 Zinka, 바른교육권실천행동, 바른시민옴부즈맨, 바른사회시민회의, 열린북한방송,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북한민주화위원회, 북한민주화운동본부, 북한인권청년학생연대, 북한인권탈북청년연대, 서평방송, 숙명여대 북한인권동아리 HANA, 숭의동지회, 원광대 '인권의빛',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요덕스토리, 자유북한군인협회, 전북대'북극성'과 '하눌타리', 자유북한방송, 정착인신문, 탈북자동지회, 탈북인크리스찬연합, 탈북여성인권연대, 피랍탈북인권연대, 평양민속예술단, 통일문필가협회, 통일을준비하는탈북자협회, 한민족대안학교, 한양대 Echo 등 35개 단체가 함께했다.
[김소열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