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사설] '황장엽 以後'의 북한 민주화 운동 방향 찾을 때 인쇄하기
이름 NKnet
2010-10-15 11:11:28  |  조회 4929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사설] '황장엽 以後'의 북한 민주화 운동 방향 찾을 때

지난 10일 세상을 떠난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가 14일 국립 대전현충원에 묻혔다. 박관용 전 국회의장은 영결식 조사(弔詞)에서 "황 선생님이 한국에 온 것은 60년 북한 독재에 대한 가장 강력한 치명타였고, 선생님이 들고 계시는 '북한 민주화의 깃발'이 평양에 힘차게 꽂히는 그날 선생님의 영정을 다시 모시겠다"고 했다.

황씨는 대한민국에서 보낸 13년 세월의 마지막 날 마지막 순간까지 북한 민주화 운동에 바쳤다. 황씨가 높이 든 북한 민주화의 횃불은 탈북자들에게 북한 동포를 위해 자신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되돌아보게 했고, 이것이 탈북자가 중심이 된 북한 민주화 운동 단체들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1980년대 주체사상을 떠받들었던 주사파(主思派)의 핵심 인물들도 1997년 황씨의 망명을 계기로 공개적으로 주체사상을 비판하면서 북한 민주화 운동에 뛰어들었다.

황씨가 위원장을 맡아 이끌어온 '북한 민주화위원회'에는 '탈북자동지회' 'NK지식인연대' '북한전략센터' '자유북한연합' 등 대부분의 탈북자 단체들이 속해 있다. 주사파 출신들이 만든 '북한민주화네트워크'를 포함해 북한 관련 운동 단체치고 황씨의 도움을 받지 않은 단체는 거의 없다. 김영환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연구위원은 "당분간 북한 민주화 운동의 구심점이었던 황 선생님을 대체할 만한 인물을 찾기 쉽지 않을 것 같다"고 황씨를 떠나보낸 아픔과 아쉬움을 털어놓았다.

북한은 탈북자 단체들이 띄워 보낸 풍선과 '열린북한방송'을 통해 대한민국의 발전상 및 북한 체제 비판이 북한 동포들에게 전해지는 것을 문제 삼으면서 "용납하지 않겠다"고 거듭 협박했다. 북한 권력자들이 그만큼 북한 민주화 운동을 두려워하고 있다는 증거다. 북한이 작년 말 실시한 화폐 개혁에 대해 주민들이 공공연히 반발하는 모습이 동영상을 통해 전 세계에 알려진 것도 북한 민주화 운동 단체들의 활동 덕분이다.

북한 민주화 운동은 왜 통일이 대한민국 주도로 이뤄져야 하는가를 설명하는 통일 운동의 명분이고 이론이다. 북한 주민을 독재 권력의 폭정(暴政)으로부터 구출하기 위해서는 한반도가 통일돼야 하며, 북한 주민의 자유와 인권이 보장되려면 그 통일이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 체제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소련 및 동(東)유럽 공산국가에서도 체코의 하벨, 소련의 사하로프와 솔제니친 같은 인물들을 구심점으로 삼아 모여든 민주화 운동 단체들이 있었기에 공산정권 퇴진과 민주 체제 성립이 비교적 큰 유혈 사태 없이 진행됐다. 북한 민주화 운동은 북한 급변 사태를 내다보고 준비하는 비상 대책이기도 하다.

북한 민주화 운동은 그동안 탈북자와 몇몇 활동가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 이제 북한 민주화 운동이 대한민국 안에서 더 넓은 지지 기반을 확보하고 더 깊이 뿌리를 내리도록 하려면 북한 민주화 운동 단체들은 운동 목표와 의제(議題), 방법 등을 가다듬어야 한다. 정부와 국민도 북한 민주화 운동의 진로와 지원방안을 그들과 함께 고민하고 찾아나가야 한다.
   
578 [아시아투데이] 남한 내 주사파 대부 김영환이 본 황장엽  NKnet 10-10-18 5139
577 [연합뉴스]통일비용 접근법..백가쟁명식 조언.충고  NKnet 10-10-16 5409
576 [조선일보][사설] '황장엽 以後'의 북한 민주화 운동 방향 찾을 때  NKnet 10-10-15 4929
575 [아시아투데이]황장엽이 남긴 것…주체 논쟁과 북한민주화  NKnet 10-10-15 4374
574 [데일리NK]'北민주화운동 상징' 故황장엽 영결식 엄수  NKnet 10-10-15 5489
573 [데일리NK]'北민주화운동 상징' 故황장엽 영결식 엄수  NKnet 10-10-15 4321
572 [뉴데일리]“황장엽 선생은 진보가 무엇인지 보여주신 분”  NKnet 10-10-15 4214
571 [뉴스한국]황장엽 마지막 가는길…"밝은 앞날 보려는 미련 달랠 길 없어"  NKnet 10-10-15 4470
570 [매일경제]고향에 묻히고 싶어했건만…황장엽씨 눈물의 영결식  NKnet 10-10-15 4351
569 [조선일보]탈북자들, '황장엽 재단' 설립추진  NKnet 10-10-15 4646
568 [문화일보]“사상·유업 잇자” 움직임… ‘황장엽 재단’ 설립 추진  NKnet 10-10-15 4659
567 [문화일보]<김정은 세습 ‘흔들리는 北’> “‘김정은 체제’ 성공 가능..  NKnet 10-10-13 4367
566 [문화일보]<김정은 세습 ‘흔들리는 北’> “北 ‘김정은 띄우기’ 1단..  NKnet 10-10-13 4816
565 [문화일보]故황장엽 내일 영결식… 그를 돌아보다  NKnet 10-10-13 4931
564 [조선일보]"김정은 체제 성공 가능성은 10% 미만"  NKnet 10-10-13 5470
563 [아시아투데이]김정은 후계체제 전망 오리무중  NKnet 10-10-13 4700
562 [뉴데일리]워싱턴서 21일 ‘북한인권국제회의’ 열려  NKnet 10-10-13 4308
561 [RFA] 21일 북한인권국제회의 '북 3대세습' 논의  NKnet 10-10-13 4307
560 [코나스]순조로운 김정은 후계체제 성공은 10%미만  NKnet 10-10-13 4370
559 [경향신문]“김정은 후계 안착 가능성 10%”  NKnet 10-10-13 4266
11121314151617181920